건강
“또 야근” 심정지 위험 높아진다…‘이것’ 하지 말아야
질병관리청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근무 환경과 시간이 급성심장정지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잦은 야근과 장시간 연속 근무는 심장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 건수는 2013년 약 2만9000건에서 2023년 3만3000여 건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심부전,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당뇨병, 고혈압 등이 주요 위험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장시간 근무와 불규칙한 생활습관이 이러한 위험을 더욱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연구에서도 하루 11시간 이상 근무할 경우, 일반적인 근무 시간인 7~9시간과 비교했을 때 급성심근경색 위험이 약 1.6배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장시간 근무가 심장에 상당한 부담을 주고, 결국 급성심장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실제로 국내외 연구진은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 금연이 심장질환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권고한다. 특히 하루 6~8시간의 수면과 주 1회 이상 중등도 이상의 운동, 과일과 채소 섭취, 붉은 육류 줄이기가 예방 수칙으로 제시됐다.
한 직장인의 사례는 이러한 위험을 잘 보여준다. 30대 직장인 박씨는 10년간 잦은
2025.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