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게임 끝났다?”… 상상 초월하는 기술력으로 한국 뒤흔드는 중국

‘꿈의 배터리’라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전쟁의 막이 올랐다. ‘가성비’를 무기로 세계 시장을 집어삼키던 중국 전기차 배터리가, 이제는 K-배터리의 심장부인 미래 기술까지 넘보고 있다. 한번 충전에 1,000km는 우습다는 듯, 상상조차 힘든 성능을 발표하며 한국을 뒤흔들고 있다. 과연 이 무서운 추격에 맞서 한국은 어떤 반격 카드를 준비하고 있을까?
BYD 씰 상부 (출처=BYD)
“1,875km 주행, 3,000km 충전”... 中의 믿기 힘든 허풍? or 현실?중국의 기세는 그야말로 파죽지세다. 전기차 강자 BYD는 한번 충전으로 1,875km를 달리는 전고체 배터리를 테스트 중이라고 밝혔고, IT 공룡 화웨이는 한술 더 떠 “5분 충전으로 3,000km 주행이 가능하다”는, 공상과학 영화에나 나올 법한 기술 특허를 공개했다.
화웨이 전고체 배터리 (출처=화웨이)
이게 단순한 허풍이나 과장으로 치부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 뒤에 ‘중국 정부’라는 거대한 그림자가 있기 때문이다.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과 막대한 자본을 등에 업은 중국 기업들은 무서운 속도로 기술 격차를 좁히며 한국 배터리 업계를 압박하고 있다. 한때 전고체 배터리 특허의 40%를 쥐고 있던 일본마저 위협할 정도다.

“2027년을 기다려라”... 삼성·LG·SK의 반격 작전발등에 불이 떨어진 K-배터리 3사도 총력전에 돌입했다. 가장 발 빠르게 움직이는 곳은 삼성SDI다. 2027년까지 가장 유력한 후보인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이미 시험 생산라인을 가동하며 칼을 갈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 샘플 (출처=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은 2030년 양산을 목표로 올해 시험 생산라인 구축에 들어가고, SK온은 ‘투트랙’ 전략으로 맞선다. 비교적 만들기 쉬운 ‘고분자-산화물 복합계’를 2028년에 먼저 선보이고, 성능이 뛰어난 ‘황화물계’는 2030년에 상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의 속도전에 맞서 ‘기술의 완성도’로 승부를 보겠다는 전략이다.

승자가 모든 것을 갖는다... ‘배터리 굴기’에 나라 운명이 걸렸다이 전쟁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명확하다. 전고체 배터리는 단순히 성능 좋은 배터리가 아니다. 터지거나 불붙을 위험이 없고, 주행거리는 지금의 두 배 이상 늘어나며, 충전 속도는 스마트폰 충전만큼 빨라진다. 전기차의 모든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인 셈이다.
아이오닉9(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이 기술을 먼저 손에 쥐는 나라가 미래 전기차 시장의 패권을 차지하게 된다. 우리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28년까지 총 1,824억 원을 투입해 K-배터리의 ‘초격차’ 기술 확보를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한·중·일 삼국지로 압축된 배터리 전쟁의 최종 승자가 누가 될지, 그 결과에 전 세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