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에 따르면, 이천수는 2018년 11월 A씨에게 “현재 수입이 일정치 않다. 생활비를 빌려달라. 향후 유튜브 채널과 축구학교를 운영할 예정이니 늦어도 2023년 말까지 갚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A씨는 2021년 4월까지 아홉 차례에 걸쳐 총 1억 3200만 원을 이천수 배우자 명의 계좌로 송금했다. 그러나 2021년 가을 이후 연락이 두절됐으며, “1원도 돌려받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A씨는 또한 “이천수가 외환선물거래(FX) 사이트 투자를 권유했고, 그 과정에서 수억 원대 손실을 입었다”고 추가로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천수는 “금전을 받은 사실은 맞지만 사기에는 ‘속일 의도’가 있어야 한다”며 “그런 의도는 전혀 없었고, A씨에게 돈을 갚을 생각이 있다”고 해명했다. 투자 권유 주장에 대해서도 “전혀 사실이 아니며, 어떤 투자도 소개하거나 권유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현재 해당 사건은 국내 경찰에서 수사 중이다.
이천수는 선수 시절 ‘악동’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거침없는 플레이와 언행으로 화제를 모았고, 은퇴 후에도 방송과 해설 활동을 이어왔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단순한 법적 문제를 넘어 한 시대를 대표했던 스타의 ‘추락’이라는 점에서 국내외 팬들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일본 네티즌들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영웅이 왜 생활비를 빌렸나”, “수십억을 벌었을 텐데 이해할 수 없다” 등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이천수는 국내 리그는 물론 스페인, 네덜란드,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등 해외 무대에서도 활약하며 상당한 수입을 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개인 간의 금전 분쟁을 넘어, 은퇴 후 스포츠 스타의 재정 관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김지혜 기자 kjh@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