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시야 가리는 김 서림, ‘A/C 버튼’의 제습 원리만 알면 해결… 사고 막는 3단계 긴급 처방과 예방법

여름 장마철, 갑자기 쏟아지는 폭우에 와이퍼를 급히 움직여보지만 순식간에 앞 유리가 뿌옇게 변했던 아찔한 경험. 이는 운전자의 목숨을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로, 장마철 교통사고의 주범인 자동차 김 서림과 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해결의 열쇠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당신의 바로 앞에 있는 ‘A/C’ 버튼의 진짜 기능을 아는 것만으로도 이 위험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에어콘 조절 방법 (출처=인터넷커뮤니티)

김 서림, 대체 왜 생기는 걸까?

장마철 김 서림의 원인은 차량 내외부의 ‘온도’와 ‘습도’ 차이 때문입니다. 비로 인해 차가워진 유리창에, 사람의 호흡과 체

온으로 인해 따뜻하고 습해진 실내 공기가 만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해 유리에 달라붙는 것입니다.

많은 운전자들이 A/C 버튼을 단순히 ‘찬 바람’을 만드는 스위치로 오해하지만, 에어컨의 핵심 기능은 사실 강력한 ‘제습’입니다. 에어컨은 실내의 덥고 습한 공기를 차가운 증발기로 통과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물방울로 응결시킨 뒤, 이 물기를 차량 외부로 배출합니다. 즉, 에어컨은 장마철 습기를 잡는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제습기’입니다.
차량별 에어콘 버튼 예시 (출처=인터넷커뮤니티)

3초 완성, 김 서림 긴급 제거법

폭우 속에서 갑자기 앞 유리에 김이 서렸다면, 당황하지 말고 아래 3단계를 즉시 실행해야 합니다.

1단계: 계기판의 부채꼴 모양 ‘앞유리 성에 제거’ 버튼을 누릅니다.

2단계: A/C 버튼에 불이 들어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가장 중요)

3단계: 공기 순환 모드를 ‘외기 유입’으로 설정합니다.

만약 제습 중 춥게 느껴진다면, A/C 버튼은 그대로 둔 채 온도 다이얼만 원하는 온도로 높이면 ‘따뜻하면서도 건조한 바람’이 나와 춥지 않게 습기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공기 순환 모드 예시 (출처=인터넷커뮤니티)

시야를 위협하는 또 다른 적, ‘유막’과 ‘와이퍼’

실내 습기 관리만큼 중요한 것이 유리창 외부 관리입니다. 와이퍼를 작동시켜도 유리가 깨끗하게 닦이지 않고 물 번짐이 심하다면, 유리창에 낀 기름때인 ‘유막’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장마 시작 전 유막 제거제를 사용해 유리창을 깨끗이 닦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낡아서 제 기능을 못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즉시 교체하고, 빗길 제동력과 직결되는 타이어 마모도와 공기압 점검도 필수입니다.

장마철 빗길 교통사고 사망률이 맑은 날보다 30%나 높다는 통계는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A/C 버튼의 올바른 사용법이라는 간단한 지식 하나가, 그 어떤 첨단 안전장치보다 당신과 가족을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