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의 차’로 불리며 단종 후에도 인기 높았던 모하비의 귀환에 국내 소비자 기대감 증폭
단종의 아쉬움도 잠시, ‘왕의 귀환’이 현실이 되고 있다. 한때 국산 프레임 SUV의 자존심으로 불렸던 ‘정의선의 차’가 현대차의 이름으로 부활을 예고했다. 현대자동차가 북미 시장을 겨냥한 정통 보디 온 프레임(Body-on-frame) 방식의 픽업트럭과 SUV 개발을 공식화하면서, 국내 소비자들의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했다.싼타크루즈와는 격이 다른 ‘진짜’가 온다
현대차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2030년까지 보디 온 프레임 기반의 중형 픽업트럭과 SUV를 출시하겠다는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기존의 모노코크 보디(차체와 프레임이 하나인 구조) 기반의 소형 픽업트럭 싼타크루즈와는 완전히 결이 다른 모델이다.‘정의선의 차’ 모하비의 화려한 귀환
이번 발표가 더욱 주목받는 이유는 단종된 기아 모하비의 부활 가능성 때문이다. 모하비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기아 사장 시절 개발을 진두지휘해 ‘정의선의 차’라는 별칭을 얻은 모델이다. 강력한 V6 디젤 엔진과 프레임 보디가 주는 특유의 단단함으로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했으나, 지난해 7월 아쉽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기아 타스만과 함께 시장 판도 흔든다
현대차의 이번 도전은 기아의 픽업트럭 ‘타스만’과 함께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차원에서 프레임바디 라인업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는 ‘투트랙 전략’인 셈이다. 비록 현대차의 신형 픽업트럭과 SUV는 북미 시장을 우선 목표로 개발되지만, 국내 출시 요구가 빗발칠 것은 자명하다.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