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성의 시대, V6 심장을 고집한 ‘상남자 SUV’의 마지막 여정
2024년 7월, 한 시대가 막을 내렸다. 도로 위를 압도하는 존재감으로 ‘아빠들의 드림카’라 불렸던 기아 모하비가 17년의 여정 끝에 공식 단종됐다. 모두가 연비와 효율을 외칠 때, 묵묵히 V6 디젤 엔진과 강철 프레임의 길을 걸었던 ‘마지막 상남자 SUV’의 퇴장이다.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끝이 아니다. 생산 종료 소식과 함께 중고차 시장에서 모하비의 몸값은 오히려 수직 상승하며 그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고 있다.강철 뼈대와 V6 심장, 숫자가 말해주는 가치
모하비의 핵심은 뼈대부터 다르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도심형 SUV가 승용차처럼 모노코크 바디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모하비는 강철 프레임 위에 차체를 올린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을 고수했다. 이 정통 오프로더 방식은 험로 주행 시 차체의 뒤틀림을 억제하고, 막강한 내구성과 견인력을 자랑한다. 캠핑 트레일러를 끌거나 험지로 떠나는 운전자들에게 이보다 더 든든한 보험은 없었다.하지만 시장은 이 단점을 상쇄하고도 남을 가치를 인정했다. 5천만 원을 훌쩍 넘는 신차 가격에도 불구하고, 2~3년 된 모델이 여전히 3천만 원 중후반에서 4천만 원대에 거래되는 놀라운 가격 방어율을 보여준다. 이는 ‘감가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례적인 현상이며, 이제는 단종으로 인해 희소성까지 더해졌다.
팰리세이드는 줄 수 없는 단 하나의 매력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모하비에 열광할까? 정답은 ‘대체 불가능성’에 있다. 현대 팰리세이드와 같은 세련된 도심형 SUV가 제공하는 안락함과 첨단 편의 기능은 분명 매력적이다. 하지만 모하비는 그 반대편에서 완전히 다른 가치를 제공했다.전설의 시작, 모하비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전동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 V6 디젤 프레임바디 SUV는 이제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유물이 될 운명이다. 모하비의 단종은 단순한 모델의 퇴장을 넘어, 내연기관 시대 ‘진짜 SUV’의 종언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이다.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