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케데헌’ 열풍…日 호랑이 학살 만행 전 세계 충격
“한국 불쌍해” 해외 팬들 ‘분노’

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며 일본의 일제강점기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되고 있다.
최근 한 해외 틱톡커는 “케데헌을 보고 호랑이에 대해 검색하다가 일본이 한국의 모든 호랑이를 멸종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는 영상을 올려 120만 회가 넘는 조회수를 기록했다.
영상 속 그는 케데헌의 인기 캐릭터 ‘더피’에 매료돼 한국 호랑이에 대해 조사하다가 일본이 20세기 초 조직적으로 조선 호랑이를 사냥하고 멸종시킨 사실을 접했다며 충격을 드러냈다. 해당 영상은 ‘좋아요’ 18만 개를 돌파했고 댓글도 2000개 이상 달리며 일본의 과거사를 둘러싼 뜨거운 논의가 이어졌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실제로 일본은 1917년부터 한국 호랑이를 ‘해수(害獸, 해를 끼치는 동물)’로 규정하고 ‘정호군’이라 불리는 민간 사냥대를 조직해 대대적인 토벌 작전에 나섰다. 표면상 이유는 ‘호환(호랑이 피해) 예방’이었지만, 조선의 민족 정기 말살과 제국주의 사기 진작을 위한 상징적 행위였다는 해석이 많다. 그 결과 조선을 상징하던 호랑이는 일제강점기 동안 자취를 감추게 됐다.
틱톡 영상에는 “일본은 한국의 오래된 건축물을 파괴하고, 전쟁 범죄를 역사책에 포함하지 않는다”, “민족 정체성을 억압하려 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한국이 회복력의 상징이 됐다” 등 전 세계 누리꾼들의 댓글이 줄을 이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강제징용, 생체실험 등 다양한 역사적 가해 행위가 언급되며 일본의 과거사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높아지고 있다.

사진=넷플릭스
전문가들도 이러한 흐름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OTT 콘텐츠의 글로벌 흥행이 일본의 역사 왜곡을 바로잡고 가해 역사를 세계에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국 콘텐츠가 다양한 방식으로 아시아의 역사와 진실을 세계에 전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케데헌’은 한국 K팝과 전통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으로, 넷플릭스 전 세계 시청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작품 속 ‘더피’ 캐릭터는 조선 민화 ‘호작도’를 모티프로 한 호랑이로, 한국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자연스럽게 녹여내 세계인의 관심을 이끌었다.
김은정 기자 kej@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