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티켓 빼돌려 부인 통장으로 꿀꺽”... 장기 신뢰 악용한 충격 수법, 피해액 5억 넘으면 ‘특경법’ 적용
성시경 매니저 횡령 혐의로 제3자 고발. ‘한국판 오타니’ 사건 비화 조짐이다. 티켓 빼돌리기 수법으로 5억 이상 피해가 추정되며 특경법 적용 여부가 쟁점이다.수 성시경의 오랜 믿음이 배신으로 돌아왔다. 성시경의 전 매니저 김모씨가 수억 원대 업무상 횡령 혐의로 제3자로부터 고발당한 사실이 10일 확인됐다.
영등포경찰서에 접수된 고발장에는 김씨의 행각을 ‘미국 전역을 떠들썩하게 한 오타니 쇼헤이 통역사 사건’에 비유하며 유명인의 신뢰를 악용한 사익 추구는 반드시 단죄되어야 한다는 강력한 처벌 요구가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암표 단속’ 명분 뒤에 숨은 ‘티켓 빼돌리기’
가요계에 따르면 김씨는 성시경의 매니지먼트 업무를 장기간 담당하며 두터운 신뢰를 쌓아왔다.문제는 이 신뢰를 악용한 정황이 포착된 것이다. 김씨는 ‘암표 단속’이라는 그럴듯한 명목을 내세워 VIP 콘서트 티켓을 별도로 확보한 뒤, 이를 암암리에 판매하고 수익금을 부인 명의의 계좌로 챙긴 의혹을 받고 있다.
오랜 기간 이어진 성시경의 콘서트 규모와 김씨의 재직 기간을 고려할 때,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사실이 발각되자 김씨는 현재 회사를 그만둔 상태다.
피해액 5억 넘나... ‘특경법’ 적용시 3년 이상 징역
법조계는 이번 사건의 피해액 규모에 주목하고 있다.만약 김씨의 횡령액이 5억 원을 넘어설 경우, 이는 단순 횡령이 아닌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 위반 혐의가 적용된다. 이 경우 처벌 수위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으로 대폭 상향된다.
고발인 역시 이 점을 지적하며 “성시경의 업계 위상을 고려할 때 피해액이 적지 않을 것”이라며 “수사기관이 철저히 수사해 특경법 적용 여부까지 면밀히 검토하고 엄정히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성시경 ‘처벌 의사’가 최대 관건... ‘오타니 사건’과 판박이
다만, 실제 수사와 처벌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법무법인 LKB평산의 정태원 변호사는 “업무상 횡령이나 배임죄는 제3자가 고발하더라도 피해 당사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밝히면 수사 진행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결국 ‘피해자’ 성시경의 의사가 사건의 향방을 가를 최대 변수가 된 셈이다.
정 변호사는 이어 “연예인 매니지먼트는 신뢰가 핵심”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정산 절차나 내부 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국판 오타니 사건’으로 비화된 이번 사태가 어떻게 결론 날지 귀추가 주목된다.
강지원 기자 jwk@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