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픽사베이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면서 해외여행을 앞둔 시민들에게 예방접종이 필수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국내 홍역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여행 전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홍역 환자는 총 49명이었으며, 올해 3월 6일 기준으로 이미 1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들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국내에서 감염된 사례로 조사됐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3월까지 발생한 홍역 환자 18명 중 13명은 베트남을 방문한 이력이 있었으며, 나머지 5명은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해 감염됐다.
베트남 방문자 중 12명은 백신 접종력이 확인되지 않거나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상태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감염된 환자의 연령대는 영유아부터 50대까지 다양했으며, 특히 생후 12~15개월 이전의 영아 4명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이 취약한 연령대에서의 감염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다.

사진=질병관리청
미국 역시 올해 들어 200명이 넘는 홍역 확진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2명이 사망하는 등 심각한 상황이다. 미국 내 홍역 환자의 96%가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상태였으며, 사망자 또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홍역은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병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기침, 콧물, 발진, 구강 내 회백색 반점 등이 나타나며, 면역력이 부족한 사람이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의 확률로 감염될 수 있다.

사진=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홍역이 유행하는 국가를 방문할 예정이라면 반드시 예방접종을 완료한 후 출국할 것을 당부했다. 특히 백신 접종 후 방어 면역이 형성되는 데 보통 2주 정도가 걸리는 만큼, 최소한 여행 2주 전에는 접종을 마쳐야 한다. 또한, 해외여행 후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홍역 여부를 확인하고,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해야 한다.
김은정 기자 kej@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