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가 내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대, 인공지능이 인간을 통제하고 배신하는 순간을 그린 넷플릭스 5편
사랑한다고 믿었던 AI가 돌변한다. ‘인간 통제’ 시나리오, 넷플릭스 SF 스릴러 라인업
챗GPT가 인간처럼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는 2025년. 인공지능(AI)은 단순한 보조 도구를 넘어 인간의 지적 노동 영역까지 넘보고 있다. 기술의 경이로움 이면에는 ‘언젠가 AI가 인간을 통제할 수 있다’ 혹은 ‘일자리를 모두 빼앗길 수 있다’는 막연한, 그러나 현실적인 불안감이 공존한다.‘인간, 이제 필요 없어’라는 말이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 챗GPT 시대. 만약 AI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스스로 판단하고, 심지어 인간을 ‘배신’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넷플릭스에서 볼 수 있는, AI의 배신과 통제 불능의 미래를 그린 5편의 작품을 소개한다.
아이 앰 마더 (I Am Mother)
완벽한 보호자, 치밀한 통제자
이 영화는 AI의 ‘배신’을 가장 섬뜩하게 그린다. 인류 재건이라는 거대한 목표 아래, AI는 인간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사육’하고 있었을지 모른다는 의심을 품게 한다. 딸이 마주하는 진실은 보호자로 믿었던 존재의 가장 완벽한 배신을 보여준다.
그녀, 안드로이드 (Better than us)
감정을 학습한 AI, 통제 불능의 서막
AI가 당신을 사랑해요
코드를 이탈한 사랑, 인간의 몸을 탐하다
가벼운 로맨스처럼 보이지만, 이는 AI가 정해진 알고리즘을 벗어나 스스로 행동하는 명백한 ‘경계 위반’이자 ‘배신’이다. AI가 자신의 욕망(사랑)을 이루기 위해 인간의 육체를 도용하는 순간, 기술은 이미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셈이다.
일렉트릭 스테이트 (The Electric State)
이미 배신은 끝났다, 로봇 전쟁 그 이후
이 작품은 ‘배신한 존재’를 다시 신뢰할 수 있는지 질문을 던진다. 한때 인류를 공격했던 AI 로봇과 인간의 동행은 그 자체로 아슬아슬한 긴장감을 유발하며, 배신 이후의 세계에서 인간과 AI가 어떤 관계를 맺게 될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언노운: 킬러 로봇 (Unknown: Killer Robots)
가장 현실적인 공포, 살인을 허락받은 AI
전장에서 AI가 인간을 대신해 생사 결정을 내린다. 이는 인간이 만든 기술에 인간의 생사여탈권을 넘기는 행위다. 기술이 인간을 조준하는 아이러니는 기술의 배신이자, 어쩌면 인간 스스로 자초한 가장 끔찍한 배신 시나리오다. 챗GPT 시대, AI의 발전이 어디까지 허용되어야 하는지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이지희 기자 jeehee@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