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려고 이 비싼 차 샀나”…미국서 터진 현대차 대형 SUV 논란, 집단소송까지 번졌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결함 논란이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뜨겁게 타오르고 있다. ‘아빠들의 드림카’로 불리던 명성에 먹구름이 낀 것으로, 반복되는 특정 부품의 고장으로 차주들의 불만이 폭주하며 급기야 집단소송 사태로까지 번지는 모양새다.
팰리세이드 (출처=현대차)
고급 모델일수록 ‘덜컹’… 정체불명 서스펜션 누수
문제의 진원지는 바로 자동차의 뒷바퀴 쪽에 장착된 충격 흡수 장치, 이른바 ‘리어 서스펜션’이다. 주행 중 차체가 불안정하게 흔들리거나 ‘덜컹’거리는 소음과 함께 승차감이 급격히 나빠지는 현상이다. 심한 경우, 부품에서 기름(유압유)이 새어 나오기까지 한다.
특히 이 문제는 여러 옵션이 추가된 고급 트림(캘리그래피, 리미티드)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차주들의 배신감은 더욱 크다. “비싼 돈 주고 산 고급형 모델의 승차감이 경차보다 못하다”는 격한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 측면 (출처=현대차)
“보증 끝나자마자 고장”… 차주들 분노 폭발
“새 차 뽑은 지 얼마나 됐다고, 3만 5천km 타는 동안 벌써 두 번이나 뒤쪽 쇼크 업소버를 갈았습니다. 이게 말이나 됩니까?”
한 미국인 차주의 목소리에는 분노가 가득했다. 이처럼 잦은 고장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고장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무상 보증 기간이 막 끝난 직후에 문제가 터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결국 차주들은 적게는 수십, 많게는 백만 원이 넘는 수리비를 고스란히 자기 주머니에서 꺼내야 하는 실정이다.

현대차 신형 팰리세이드 측정면1 (출처=현대차)
현대차의 ‘침묵’, 논란에 기름 부었다
차주들의 속이 타들어 가는 동안, 제조사인 현대차는 아직 이렇다 할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과거 기술 서비스 공지(TSB)를 통해 문제의 존재를 일부 인지하고 있음을 시사했지만, 이는 리콜과 같은 강제성 있는 조치가 아니다.

현대 팰리세이드 풀체인지 측면 (출처=현대차)
단순한 부품 결함을 넘어, 이제는 브랜드를 향한 신뢰의 문제로 번지고 있다. 이번 사태에 현대차가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등을 돌린 소비자들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지 시장의 눈과 귀가 집중되고 있다.
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