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들, 지갑 열 준비 됐나?”... 상품성으로 돌아온 국민 SUV의 자신감

2026년형 신형 쏘렌토가 드디어 등판했다. 이번 쏘렌토 가격 정책은 한마디로 ‘미쳤다’는 소리가 절로 나온다. ‘국민 아빠차’의 명성에 걸맞게, 이전에는 수백만 원짜리 옵션으로나 만나보던 첨단 안전 기능을 ‘깡통’ 트림부터 기본으로 때려 박고도 가격 인상은 최소화했기 때문이다. 1위의 자신감은 뭐가 다른지 샅샅이 파헤쳐 보자.
기아 2026 쏘렌토 측정면 (출처=기아)
기아 2026 쏘렌토 측정면 (출처=기아)

“이젠 깡통에도 반자율주행”... 아빠의 어깨가 든든해진다

이번 2026 쏘렌토의 가장 큰 심장, 아니 ‘두뇌’는 바로 ‘차로 유지 보조 2(LFA 2)’ 기능이 전 트림 기본으로 들어간 점이다. 이전에는 상위 트림에서 비싼 돈 주고 추가해야 했던, 소위 ‘반자율주행’의 핵심 기술이다.

이게 그냥 차선 중앙만 맞추던 옛날 기술이 아니다. 운전자가 핸들을 제대로 잡고 있는지까지 감지해, 혹시 모를 졸음운전이나 딴짓을 막아주는 똑똑한 비서 역할까지 한다. 장거리 운전이 잦은 아빠들의 피로를 덜어주고 가족의 안전은 배로 높여주는, 그야말로 ‘머스트 해브’ 아이템이 기본 사양이 된 것이다.
기아 2026 쏘렌토 측정면2 (출처=기아)
기아 2026 쏘렌토 측정면2 (출처=기아)
여기에 스마트폰으로 차 문을 여는 ‘디지털 키 2’와 손만 대도 문이 열리는 ‘터치타입 도어핸들’까지 인기 트림인 노블레스부터 기본으로 장착해 편의성까지 살뜰히 챙겼다.

핸들 바꾸고 불빛 켰을 뿐인데... “이 맛에 타는구나”

자동차는 성능도 중요하지만, 매일 손이 닿고 눈길이 가는 ‘감성’도 무시할 수 없다. 2026 쏘렌토는 그 점을 정확히 꿰뚫었다.
기아 2026 쏘렌토 실내 디스플레이 (출처=기아)
기아 2026 쏘렌토 실내 디스플레이 (출처=기아)
새롭게 디자인된 4스포크 스타일의 핸들은 보기에도 예쁠 뿐 아니라, 손에 착 감기는 안정적인 그립감을 선사한다. 밤이 되면 실내를 은은하게 물들이는 앰비언트 라이트도 문 안쪽 수납공간까지 넓혀, 한층 더 아늑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준다.

인기 절정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위한 선물도 준비했다. 세련미를 더한 19인치 신규 디자인 휠을 추가해 멋을 냈고, 이 휠을 장착해도 친환경차 세제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도록 해 디자인과 실속을 모두 잡았다. 또, 강인한 디자인으로 사랑받던 ‘그래비티’ 트림은 ‘X-Line’이라는 새 이름과 함께 엠블럼, 휠캡까지 까맣게 물들여 포스를 더했다.
기아 2026 쏘렌토 실내 (출처=기아)
기아 2026 쏘렌토 실내 (출처=기아)

“그래서 얼마 올랐는데?”... 가장 중요한 가격표

자, 그래서 가장 중요한 가격은 얼마일까. 이렇게 다 퍼주고도 가격 인상 폭은 74만 원 수준으로 묶었다.

2.5 가솔린 터보 모델의 시작 트림인 프레스티지는 3,580만 원부터다.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인 LFA 2가 기본으로 들어간 것을 생각하면 사실상 가격 동결, 아니 인하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파격적인 조건이다.
기아 2026 쏘렌토 측후면 (출처=기아)
기아 2026 쏘렌토 측후면 (출처=기아)
디젤 2.2 모델은 3,750만 원부터, 가장 인기 있는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2WD)은 세제 혜택을 적용해 3,896만 원부터 시작한다. ‘국민 아빠차’라는 타이틀을 지키기 위한 기아의 고민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이미 상반기 전체 자동차 판매 1위를 차지하며 왕좌에 앉은 쏘렌토. 이번 연식 변경은 1위의 여유를 넘어, 경쟁자들이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만들겠다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

동치승 기자 dong@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