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주차’ 관행, 소방시설 옆에선 과태료 100만원… 사고 시 과실 책임까지, 정확한 법규 알아야
주차 공간이 부족한 아파트 단지나 상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중 주차. ‘어쩔 수 없는 관행’으로 여기기 쉽지만, 이는 최대 100만 원의 과태료와 사고 책임까지 떠안을 수 있는 위험한 행위다. 많은 운전자가 잘 모르는 불법 주정차의 기준과 그에 따르는 책임을 명확히 짚어봤다.
주차금지 표지판
사유지에선 관행, 도로에선 불법
먼저 알아야 할 것은 이중 주차 자체를 직접 처벌하는 법 조항은 없다는 점이다. 아파트 단지나 상가 건물 주차장 같은 ‘사유지’에서는 도로교통법이 아닌 내부 관리 규정에 따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가 도로의 일부를 점유하거나, 공영 주차장 등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는 곳이라면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다. 황색 실선이 그어진 곳이나 교차로, 횡단보도 등에 이중 주차를 했다면 명백한 불법 주정차 위반으로 단속 대상이 된다.
차선에 따른 주정차 안내 설명서
벌금 4만원? 운 나쁘면 100만원!
불법 주정차 과태료는 장소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일반 도로에서는 승용차 기준 4만 원이 부과되지만, 어린이 보호구역(스쿨존)에서는 3배인 12만 원으로 뛴다.가장 피해야 할 곳은 소방 관련 구역이다. 소화전이나 소방차 전용 구역 5m 이내에 주차할 경우, 단 한 번의 위반만으로도 최대 100만 원에 달하는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잠깐인데 괜찮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이 100만 원짜리 청구서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주정차 단속 카메라
더 무서운 건 ‘사고 책임’…과실 20%의 함정
금전적인 문제보다 더 심각한 것은 사고 발생 시의 책임이다. 만약 누군가 이중 주차된 차량을 밀다가 다른 차나 시설물에 부딪히는 사고를 냈다면, 1차적인 책임은 차를 민 사람에게 있다.하지만 법원은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고 위험 상황을 야기한 이중 주차 차주에게도 통상 10~20% 수준의 과실 책임을 묻고 있다. 내 차가 가만히 서 있었더라도 사고 수리비의 일부를 물어줘야 한다는 의미다. 부득이하게 이중 주차를 할 경우, 기어를 중립(N)에 놓고 사이드 브레이크를 풀어두는 것은 법적 책임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다.
결국 가장 좋은 해결책은 ‘나 하나쯤이야’라는 안일한 생각을 버리는 것이다. 잠깐의 편의를 위해 감수해야 할 위험과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이석호 기자 shlee@news-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