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진짜 우리 곁으로 온다고?”… 뮌헨 뒤흔든 파격 디자인, 모두가 숨죽였다

현대차가 마침내 일을 냈다. 독일 뮌헨 ‘IAA 모빌리티 2025’ 현장에서 공개된 현대차 콘셉트 쓰리(Concept THREE)는 단순한 콘셉트카를 넘어, 유럽 전기차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강력한 도전장이다. 미래에서 튀어나온 듯한 파격적인 모습에 현장에 모인 전 세계 기자들의 플래시 세례가 쏟아졌다. 양산 모델은 ‘아이오닉 3’라는 이름이 유력하며, 가장 뜨거운 격전지인 ‘3천만 원대 보급형 전기차’ 시장을 정조준한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정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정면 (출처=현대차)


강철의 재해석, 눈길 사로잡는 ‘아트 오브 스틸’

‘콘셉트 쓰리’의 디자인은 한마디로 새롭다. 현대차가 새롭게 선보인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 디자인 철학은 차가운 강철이라는 소재를 마치 예술 작품처럼 빚어냈다. 거대한 강판을 부드럽게 구부려 만든 듯한 풍만한 볼륨감과 날카롭게 각을 세운 캐릭터 라인이 절묘하게 공존하며 시선을 압도한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면 (출처=현대차)


차체는 묵직한 ‘텅스텐 그레이’ 색상으로 안정감을 주면서도, 뒷부분에는 레몬 색상으로 포인트를 준 ‘덕테일 리어 스포일러’를 달아 재치를 더했다.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도 스포티한 감각을 잃지 않겠다는 의도다. 현대차는 이 독특한 해치백 스타일을 ‘에어로 해치’라는 새로운 장르로 정의하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후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후면 (출처=현대차)


터치스크린은 이제 그만? 돌아온 ‘손맛’의 가치

실내는 더 혁신적이다. 온통 거대한 스크린으로 도배하는 최신 트렌드에 과감히 반기를 들었다. ‘물리적, 정서적 편안함’을 주제로 꾸민 실내는 탑승객을 부드럽게 감싸는 곡선 구조가 핵심이다. 그 중심에는 ‘BYOL(Bring Your Own Lifestyle) 위젯’이 있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실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실내 (출처=현대차)


평소에는 대시보드에 얌전히 자리 잡고 있던 이 물리 위젯은 시동을 켜면 운전자 쪽으로 스르륵 이동한다. 운전자는 화면을 여러 번 터치할 필요 없이, 손에 익은 이 위젯을 통해 가장 자주 쓰는 기능들을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운전의 즐거움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나만의 스타일에 맞게 설정을 바꾸는 재미. 현대차가 고민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의 가치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실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실내 (출처=현대차)

3천만 원대 전기차 전쟁, 유럽은 이미 후끈

‘콘셉트 쓰리’의 파격은 단순히 디자인에만 머물지 않는다. 현대차그룹의 차세대 전기차 통합 플랫폼 ‘IMA(Integrated Modular Architecture)’가 처음으로 적용될 모델 중 하나라는 점이 더 중요하다. 배터리와 모터 등 핵심 부품을 표준화하고 모듈화해, 원가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이 기술 덕분에 약 2만 5,000유로(약 3,700만 원)라는 공격적인 가격표를 달 수 있게 됐다.

이미 유럽 시장은 폭스바겐 ID.2, 르노 5 일렉트릭 등 쟁쟁한 경쟁자들이 출시를 예고하며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여기에 ‘반값 전기차’를 준비 중인 테슬라까지 가세하면 그야말로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전망. ‘콘셉트 쓰리’, 즉 아이오닉 3는 이 치열한 경쟁의 한복판에서 현대차의 유럽 점유율을 책임져야 할 막중한 임무를 띠고 있다.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후면 (출처=현대차)
현대차 콘셉트 쓰리 측후면 (출처=현대차)
단순히 멋진 쇼카가 아니다. 아이오닉 5와 6의 성공 신화를 넘어, 가장 대중적인 소형 전기차 시장까지 석권하겠다는 현대차의 야심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차세대 플랫폼과 새로운 디자인, 사용자 중심의 인테리어까지.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의 미래가 얼마나 대담하고 짜릿할지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예고편이다.

이석호 기자 shlee@news-wa.com